목차
🚨 세 줄 요약
- 대구 서변동에서 산불 진화 중 44년 된 임차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했습니다.
- 헬기는 1981년 제작된 노후 기종으로,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사고 당시 목격자는 강한 돌풍과 헬기의 불안정한 움직임을 지적하며, 사고 원인 규명이 시급합니다.
대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노후 기종 안전 실태 '경고등'
🛑 44년 된 산불 진화 헬기, 대구서 추락 사고
2025년 4월 6일 오후 3시 41분, 대구 북구 서변동 일대에서 산불 진화에 투입된 헬기 한 대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74세 조종사가 현장에서 숨졌으며, 헬기는 완전히 전소되었습니다.
해당 헬기는 1981년 제작된 BELL 206L 기종으로, 무려 44년 된 노후 헬기였습니다. 대구 동구청이 산불 진화를 위해 임차하여 운용하던 것으로 확인돼, 공공 안전 장비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 추락 당시 상황…“돌풍에 기체 흔들리더니 그대로 추락”
현장을 목격한 시민들은 당시 상황을 충격적으로 전했습니다. 목격자 김영호(70) 씨는 “헬기가 물을 퍼 올린 뒤 대각선 방향으로 내려오다가 불안정하게 흔들렸고, 기체 하부의 물통이 튕겨 나가며 헬기가 추락했다”고 증언했습니다.
또 다른 목격자는 “돌풍에 헬기가 몇 차례 출렁거리다 땅에 처박혔다”고 말하며, 날씨 조건과 기체 상태가 겹친 복합적인 사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 산불 진화 헬기, 반복되는 추락 사고
이번 사고는 지난달 3월 26일, 경북 의성에서도 산불 진화 중 임차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한 사건 이후 불과 열흘 만에 또 발생한 것입니다.
이처럼 산불 진화용 임차 헬기의 잇단 사고는 노후 기종 운용의 위험성과 관련 제도 정비의 필요성을 드러냅니다.
👷 구조 시도에도 무력…화재와 기체 파손 심각
헬기 추락 직후, 인근에 있던 시민들은 조종사 구조를 시도했으나 실패했습니다. 조종사가 기체에 끼인 상태였고, 추락 직후 발생한 화재로 인해 접근 자체가 불가능했다는 안타까운 전언입니다.
한 목격자는 “안전벨트를 풀려고 했지만, 화염이 너무 뜨거워서 더는 다가갈 수 없었다”며 사고 당시의 무력감을 전했습니다. 이처럼 구조조차 어려웠던 사고는 응급 대응 체계와 장비의 현대화 필요성을 다시금 일깨우고 있습니다.
🕵️ 사고 원인 조사 착수…제도 개선 시급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며, 국토부 항공사고조사위원회도 현장에 투입돼 야간 조사 후 정밀 분석을 예고했습니다.
그러나 단순한 기계적 결함이 아닌, 기체 노후화·임차 시스템·기상 조건 등 복합적인 요소가 얽힌 만큼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 반복되는 참사…국가 차원의 대응 절실
산불은 예상치 못한 시점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초기 진화의 성패가 피해 규모를 좌우합니다. 이에 따라 산불 진화 헬기의 역할은 절대적이지만, 반복되는 노후 기체의 추락 사고는 구조적으로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한 사고가 아닌 공공 안전 체계의 총체적 점검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분야만큼은 예산 확보와 기체 교체, 전문 인력 배치 등 전방위적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동호 사장 임명 제동…절차적 하자에 법원 “정당성 부족” (0) | 2025.04.07 |
---|---|
한국 최초 강제노동 수입금지 사례…태평염전에 무슨 일이? (0) | 2025.04.06 |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실탄 발견 사건 정리 및 현재 수사 상황 (0) | 2025.04.06 |
우원식 의장 개헌 제안…이번 대선과 함께 국민투표 추진 (0) | 2025.04.06 |
경찰, 전국 비상해제… 서울은 ‘경계강화’ 유지 중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