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경찰, 전국 비상해제… 서울은 ‘경계강화’ 유지 중

by 뉴스숲지기 2025. 4. 6.

목차

    ✅ 세 줄 요약

    1.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이후 서울 지역에 내려졌던 ‘을호비상’이 ‘경계강화’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2. 전국적으로는 비상근무 체제가 모두 해제되었으며, 인명피해 없이 질서가 유지되었습니다.
    3. 경찰은 앞으로의 치안 상황에 따라 단계적 대응을 지속할 예정입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서울 '을호비상' 해제, 전국 비상근무 종료

    ⚠️ 서울 '을호비상' 해제, ‘경계강화’로 조정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이후 긴박했던 서울 지역의 비상근무 체제가 한층 완화되었습니다.


    2025년 4월 5일 오후 6시 40분, 경찰청은 서울 지역에 발령됐던 '을호비상'을 해제하고, 이를 ‘경계강화’ 단계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경계강화’는 비상근무 체제 중 가장 낮은 단계로, 갑호비상이나 을호비상처럼 전면적인 인력 동원이 아닌, 일부 인력의 대기 및 상황별 대응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에 따라 경찰관들의 연차휴가 중지는 해제되었지만, 비상연락 체계와 출동 준비 태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 전국 비상근무 종료, 서울만 유동적 대응

    서울을 제외한 전국 시도경찰청의 비상근무는 이날 모두 해제되었습니다.


    앞서 경찰은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지난 4월 3일부터 서울경찰청과 경찰청 본청에 을호비상을 발령하고 전국적으로는 최고 수위인 ‘갑호비상’을 유지해 왔습니다.

     

    갑호비상은 경찰력이 100% 동원되는 최고 단계로, 이번 선고를 전후로 서울을 포함한 전국에서 총 338개 기동대, 약 2만여 명의 인력이 동원되었습니다. 특히 서울에는 210개 부대, 약 1만 4천 명이 집중 배치되며 철통 같은 경계가 이뤄졌습니다.

    🚨 집회는 있었지만, 인명피해 없어

    윤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일부 지지자들의 집회가 서울 도심에서 이어졌지만, 다행히 폭력 사태나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와 같은 극단적 충돌을 우려한 경찰은 선제적으로 대응 태세를 강화했지만, 이번엔 큰 충돌 없이 상황이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조치는 지난 1월 19일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이후 벌어진 서울서부지법 폭동사태와 같은 상황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예방적 대응의 일환이었습니다. 경찰은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서울청장의 판단에 따라 비상 단계 조정 여부를 결정할 계획입니다.

    📌 경찰 대응, 치안 안정 기조로 전환

    경찰 관계자는 “이후의 대응은 치안상황을 면밀히 검토하여 서울청장이 결정할 것”이라며, 질서 유지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번 비상근무 해제는 대한민국 치안당국이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유연하면서도 강력한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