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AI가 바꾸는 취업 시장: 활용할 것인가, 피해 갈 것인가?

by 뉴스숲지기 2025. 3. 23.

목차

    AI 시대, 변화하는 일자리 지형도와 취업 전략

    AI 시대… 일자리 지형도 바뀐다

    미술·음악 등 창의의 영역에까지 인공지능(AI)이 도입되면서 취업 및 창업 시장에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현재 채용 시장에서는 AI를 적극 활용하는 부류와 AI의 영향을 피하고자 새로운 길을 찾는 부류로 나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7월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 기본 조례를 제정하고 AI국을 신설하는 등 발 빠른 대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채용시장에서도 AI 관련 일자리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AI 활용과 회피, 엇갈리는 선택

    #1. AI를 배우며 미래를 대비하는 사람들

    수원특례시의 한 컴퓨터 학원에서는 지난해 11월 신설된 AI 관련 강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AI를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려는 직장인과 취업준비생들이 몰려들어 초과 신청이 이어지고 있으며, 방학 추가 수업까지 개설될 정도다.

     

    3D 영상 및 모델링을 공부하던 전경민(25) 씨는 AI 프로그램 수강을 추가했다. 그는 “AI가 시간을 절약하고 아이디어 발상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보고 배워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2. AI를 피해 새로운 길을 찾는 사람들

    경기 남부의 한 인테리어 학원에서는 도배, 타일 등의 교육 과정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몇 년간 20~30대 수강생이 증가했으며, 특히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직업을 변경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였던 김솔지(32) 씨는 AI 프로그램으로 자신의 그림이 손쉽게 표절되는 것을 경험한 후, 인테리어 기술을 배우기로 결심했다. 그는 “직접 해보니 더 재미있고 오래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AI 인재 양성 정책

    AI의 발전으로 일자리 대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도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등 여러 정부 부처는 올해 280억 원을 투입해 청년 맞춤형 AI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 AI·소프트웨어(SW) 분야 전문 인재 양성 과정 확대
    • 청년을 위한 AI 관련 동기 부여 프로그램 신설
    • 진로 체험 및 생성형 AI 전문가 양성 과정 운영

    오픈AI의 ‘챗GPT’뿐만 아니라 중국의 ‘딥시크’, 일론 머스크가 개발한 ‘그록3’ 등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정부도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AI 시대의 취업 전략

    현재 채용 시장은 역대급 취업난 속에서 AI 또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취업준비생들은 AI를 적극 활용해 경쟁력을 높일 것인지, 혹은 AI가 대체할 수 없는 기술을 배워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AI를 배우는 것과 동시에 표절, 개인정보 보호 등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AI 시대의 취업 전략은 단순히 기술을 배우는 것을 넘어, AI를 윤리적으로 활용하는 방향까지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