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상 최고치 찍은 금값! 이유와 향후 전망은?
🔎 오늘의 요약
- 글로벌 경제 불안으로 금값이 상승 중
- 금 투자 방법이 더욱 다양해짐
- 일부에서는 금값 상승세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도 있음
금값,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다
국제 금값이 온스당 2,844.5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22년간 네 번을 제외하고는 금의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없었으며, 지난해에는 약 26%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금값 상승의 원인
1. 불안한 국제 정세
금값은 경제 불안 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식보다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각국 중앙은행이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습니다.
2. 중앙은행의 금 매입
2022년부터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금을 대거 매입하며 금값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세계금위원회(WGC) 조사에 따르면, 68개국 중앙은행 중 30%가 향후 1년 내 금 보유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3. 한국은행의 입장
한국은행은 금 투자에 소극적인 편입니다. 2013년 40톤을 매입한 이후 추가적인 금 매입을 하지 않았으며, 이는 안정성과 유동성을 우선시하는 한국은행의 방침 때문입니다.
다양해지는 금 투자 방법
금값 상승과 함께 다양한 금 투자 방식이 등장했습니다. 1g 미니 금반지나 금수저가 선물로 인기를 끄는가 하면, e금과 같은 디지털 금 거래도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가상자산 거래가 불법이기 때문에 금 수요가 더욱 크며, 1g 단위의 ‘금콩(Gold beans)’이 중국 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금값 상승세, 언제까지 이어질까?
미국 골드만삭스는 올해 초 금값이 3천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 전망했지만, 최근 예상치를 2,910달러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 속도가 둔화되면 달러 가치가 높아져 금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 때문입니다.
또한, 바클레이스와 맥쿼리는 연말까지 금값이 2,500달러까지 하락할 것이라 예상하며, 금값 상승세가 둔화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은값도 덩달아 상승
은 역시 금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최근 은 채굴량이 감소하는 반면, AI 및 전기차 산업의 발전으로 수요가 증가하며 은값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금값의 향후 흐름은 경제 상황과 지정학적 이슈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에 신중을 기하고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바꾸는 취업 시장: 활용할 것인가, 피해 갈 것인가? (1) | 2025.03.23 |
---|---|
중국, AI·양자컴퓨터·로봇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록 갱신 (0) | 2025.03.23 |
국민연금 크레디트 제도, 2026년부터 변화하는 내용 (0) | 2025.03.22 |
한국의 노동 선진화, 노동유연화가 먼저다 (0) | 2025.03.22 |
트럼프 당선인의 테크 업계 인사 영입, 실리콘밸리와의 밀착 (7)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