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구글, AI 의료 검색 확대하며 의료 분야 혁신 가속화
구글이 인공지능(AI) 검색을 의료 분야로 확대하며 'AI 개요' 기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2024년 6월 18일(현지시간) 연례 '체크업' 이벤트에서 구글은 ▲개선된 건강 검색 AI 개요 ▲의료 기록 API ▲건강 중심의 새로운 오픈 소스 AI 모델 등 다양한 의료 관련 제품과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더욱 폭넓고 정확해진 건강 정보 제공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검색에서 AI와 랭킹 시스템을 활용하여 수천 개의 건강 관련 주제에 대한 '지식 패널'을 확장한다는 것입니다. 기존에는 독감이나 감기와 같은 일반적인 질병 정보만 제공했지만, 이제는 더욱 폭넓은 의료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일본어 등 다국어 의료 검색을 지원하여 전 세계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미국 모바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건강 조언(What People Suggest)' 기능을 새롭게 선보입니다. 이 기능은 AI를 활용하여 관절염과 같은 특정 질환을 가진 사용자들의 경험을 웹 전반에서 수집하고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유튜브의 개인 건강 이야기 기능과 유사하며, 레딧과 같은 커뮤니티 사이트로 이동하지 않아도 다양한 건강 관련 조언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카렌 드살보 구글 최고 건강책임자(CHO)는 "사람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정보를 찾기 위해 구글 검색을 사용하지만,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도 중요한 가치가 있다"라며 "AI를 활용해 온라인 토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AI 개요' 논란 극복, 제미나이 성능 향상으로 자신감 회복
구글은 지난해 5월 AI 개요 출시 직후 "건강을 위해 하루 하나씩 돌을 먹어야 한다"와 같은 잘못된 인용으로 인해 논란에 휩싸인 바 있습니다. 이에 구글은 민감하거나 문제가 될 수 있는 건강 관련 검색에서 AI 요약을 중단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확대는 구글이 AI 개요의 결과에 대해 어느 정도 자신감을 회복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I 개요의 기반이 되는 '제미나이'의 성능이 지난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향상된 것이 핵심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의료 기록 API 출시 및 웨어러블 기기 기능 강화
구글은 안드로이드 기기를 위한 '헬스 커넥트(Health Connect)' 플랫폼의 의료 기록 API를 전 세계적으로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 제공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다른 앱에서 의료 기록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드살보 CHO는 "이 API를 통해 앱은 알레르기, 약물, 예방 접종, 실험실 결과 등의 정보를 의료 정보 교환 표준인 FHIR 형식으로 읽고 쓸 수 있다"라며 "헬스 커넥트는 활동, 수면, 영양, 생체 신호뿐만 아니라 의료 기록까지 포함해 총 50개 이상의 데이터 유형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픽셀 워치 3'의 맥박 상실 감지 기능을 이달 중 미국에서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기능은 심장 정지, 호흡 장애, 과다 복용 등의 이유로 맥박이 멈췄을 때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반응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응급 서비스에 연락하는 역할을 합니다.
AI 모델 공개 및 의료 분야 AI 활용 확대
구글은 의료 분야의 멀티모달 사용 사례를 위해 미세 조정된 '제미나이-메디(Med-Gemini)' 출시에 이어 약물 발견을 위한 새로운 오픈 소스 AI 모델 ‘Tx젬마(TxGemma)’를 공개했습니다. Tx젬마는 화합물과 단백질 구조를 분석하여 연구자들이 신약의 안전성과 효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모델은 몇 주 안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구글은 이번 발표에 대해 "AI는 전 세계의 건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라며 "앞으로 더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결론
구글의 이번 발표는 AI가 의료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AI는 건강 정보 검색, 의료 기록 관리,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앞으로 구글을 비롯한 다양한 기업들의 AI 기술 개발과 활용을 통해 더욱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글로벌 AI 선두주자로 부상하다 (0) | 2025.03.20 |
---|---|
스태빌리티 AI, 2D 이미지를 3D 비디오로 바꾸는 혁신 기술 공개 (1) | 2025.03.20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로 막는 고독사: 기술이 가져온 희망 (0) | 2025.03.20 |
한글파일(HWP)을 워드(DOCX)로 변환하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03.20 |
전문직 서비스도 플랫폼에서? 의사·변호사·세무사의 디지털 전환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