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경력단절 NO! 청년부터 중·고령까지 여성 경제활동 생애지원 정책

by 뉴스숲지기 2025. 5. 29.
반응형

✅ 세 줄 요약

  • 여성 경제활동 정책 대상이 '경력단절 여성'에서 '모든 여성'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청년, 중·고령 여성, 재직 여성까지 생애 전반에 걸친 경제활동 지원이 강화됩니다.
  • 여성새일센터 기능 확대, 첨단산업 진출 지원, 일·생활 균형 제도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2025년 달라지는 여성 경제활동 지원 정책 정리


🌟 정책 패러다임 전환

  • 기존 대상: 경력단절여성 중심
  • 새로운 대상: 청년, 중장년, 고령 등 모든 여성
  • 핵심 목표:
    • 여성 생애주기별 경제활동 지원
    • 여성의 일·생활 균형 기반 조성

🔹 청년여성 경제활동 역량 강화

  • 직무 역량 교육 확대: 대학가 새일센터, 일자리플러스센터 연계
  • 일경험 강화: 기업 현장체험 프로그램 확대
  • 첨단산업 진출 지원:
    • IT·로봇 등 신기술 분야 교육
    • 혁신융합대학 사업 지원
    • 산업 인재 활용실태조사 실시

🔹 중·고령 여성 및 경력단절여성 지원

  • 직업교육훈련: 온·오프라인 혼합 운영, 참여촉진수당 신설(총 40만 원)
  • 고용유지 장려금 상향: 1인당 400만 원
  • 선호 분야 맞춤훈련: 사회서비스 등 시니어 맞춤형 과정 운영
  • 여성 창업지원 강화: 창업전담 인력 배치, 경진대회 확대

🔹 여성의 생애 전반 경력 설계 지원

  • 신기술 훈련 확대: 소프트웨어, 바이오, IT 등
  • 이직·전직 대응 훈련 강화
  • 농촌 여성 일자리 발굴
  • 퇴직연금 가입 확대

🔹 일·생활 균형 및 경력단절 예방

  • 새일센터 경력단절 예방서비스 확대: 2029년까지 159개소
  • 기업 대상 다양성 교육 확대
  • 육아지원제도 전국 확대: 공동직장어린이집, 시간제 보육서비스 등
  • 돌봄 질 향상: 아이돌봄사 자격제 도입, 기관 등록제 추진

🔹 여성 경제활동 인프라 조성

  • 159개 새일센터 기능 강화: 중앙-광역-지역 역할 분담
  • 데이터 연계 강화: e-새일시스템-고용24 연계 확대
  • 경력단절 예방주간 운영
  • 일·생활 균형 지수 산출

📝 마무리

이번 제4차 여성 경제활동 촉진 및 경력단절 예방 기본계획(2025~2029)은 정책 대상을 확대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 획기적인 전환점입니다. 여성의 경제 참여를 높이고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