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강동구 반복되는 싱크홀 원인과 대책은? 성내동 사례 분석

by 뉴스숲지기 2025. 4. 30.

목차

    ✅ 세 줄 요약

    • 서울 강동구 성내동 길동사거리 인근 도로에서 지반 침하(싱크홀)가 발생했으며, 원인은 상수도 밸브 누수로 확인되었습니다.
    • 직경 약 2m, 깊이 1m 규모의 땅 꺼짐이 발생했으며, 현재 3개 차로가 통제된 상태입니다.
    • 서울시는 **지표투과레이더(GPR)**를 이용해 추가 조사에 나섰고, 탐사 결과는 '서울안전누리'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 성내동 싱크홀 사고 원인은 상수도 밸브 누수…서울시 GPR 조사 착수

    🕳 서울 강동구 또 ‘땅 꺼짐’…사고 현장 3개 차로 통제

    2025년 4월 30일 오후 3시 24분경, 서울 강동구 성내동 길동사거리 인근 도로에서 직경 약 2m, 깊이 1m 규모의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서울시와 강동구청, 소방당국이 즉시 현장에 출동해 확인한 결과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사고 지점 인근 도로는 3개 차로가 통제되었습니다.

    💧 원인은 ‘상수도 밸브 누수’…지반이 아래로 꺼져

    서울시와 강동구의 조사 결과, 이번 지반 침하의 직접적인 원인은 상수도 송수관로에 연결된 100mm 관의 밸브 누수로 밝혀졌습니다. 상수도 밸브가 느슨해지면서 물이 지속적으로 새어나와 주변 지반이 약해지고 결국 땅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한 것입니다.

    🛠 지반 공동현상은 아니지만 ‘심각한 경고 신호’

    강동구 관계자는 “이번 사고는 지반 아래 빈 공간이 생기는 '공동 현상'은 아니지만, 상수관의 밸브가 헐거워지면서 지반이 내려앉은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추가적인 안전 조치를 위해 지표투과레이더(GPR)를 이용한 탐사에 착수했으며, 분석 결과는 ‘서울안전누리’(safecity.seoul.go.kr)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 강동구, 올해만 네 번째 지반침하 사고

    이번 사고는 올해 들어 강동구에서 발생한 네 번째 지반 침하 사고입니다.

    • 3월 명일동 대명초 인근: 가로 18m, 세로 20m, 깊이 30m의 대형 싱크홀 발생, 오토바이 운전자 사망
    • 4월 2일 길동: 직경 20cm, 깊이 50cm의 싱크홀
    • 4월 14일 천호동 강동역 인근: 직경 20cm, 깊이 10cm의 싱크홀

    이처럼 강동구는 반복되는 싱크홀 사고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서울시, GPR 탐사 확대 및 구조 점검 예고

    서울시는 향후 동일 구간에서의 유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GPR 장비 탐사 범위를 확대하고, 상수도관 구조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긴급 복구 작업은 4월 30일 밤새 진행되어 새벽 중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 마무리: 반복되는 싱크홀, 예방 시스템 필요

    이번 성내동 싱크홀 사고는 단순한 누수 문제를 넘어서, 도시 기반 시설의 유지 관리 체계 전반을 재점검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특히 상수도관의 노후화, 밸브 체결 불량 등은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서울시와 자치구는 보다 철저한 사전 점검 및 정기적인 GPR 탐사 계획을 마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