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진료비 속 급여와 비급여의 차이점 완벽 정리!

by 뉴스숲지기 2025. 3. 18.

목차

    진료비 속 급여와 비급여의 차이점 완벽 정리!

    급여 항목은 건강보험 혜택을 받아요

    진료비 영수증을 보면 ‘급여’ 항목과 ‘비급여’ 항목이 나눠져 있어요.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급여 항목은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항목이에요. 진찰료, 입원료, 기본 검사비, 처방 약 등이 대표적인 급여 항목이에요. 이를 통해 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아 일부 금액을 국가에서 지원받을 수 있죠.

     

    예를 들어, 동네 병원(1차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면 보통 진료비의 30%만 환자가 내고, 나머지는 국가에서 지원해 줍니다. 하지만 대학병원과 같은 상급종합병원에서는 환자가 진료비의 60%를 부담해야 해요.

     

    하지만 모든 급여 항목이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1차 병원에서 진료 의뢰서 없이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응급 상황이 아닌데 응급실 진료를 받으면 환자가 전액을 부담해야 합니다.

     

    단, 암이나 난치병 환자는 병원 규모에 관계없이 진료비의 5~10%만 부담하면 됩니다.

    비급여 항목은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어요

    치료 목적이 아닌 진료는 대부분 비급여 항목에 해당합니다. 대표적으로 라섹 수술, 성형 수술, 상급 병실 입원비 등이 있습니다.

     

    비급여 항목 중 일부는 실손 보험으로 보장받을 수 있어요. 진료를 받기 전에 자신이 가입한 보험의 보장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인은 비급여 항목에 대해 ‘비급여 사전 설명 제도’를 따라야 해요. 비급여 진료를 진행하기 전에 환자나 보호자에게 진료 항목과 가격을 상세히 설명해야 합니다. 다만, 환자의 상태가 위급할 경우에는 사전 설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병원 방문 전 비급여 진료비를 확인할 수 있어요

    급여 항목의 진료비는 전국 어느 병원에서나 동일하지만, 비급여 항목은 병원마다 차이가 있어요. 병원 자체적으로 금액을 정하기 때문입니다.

     

    비급여 진료비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이 사이트에서는 병원 규모별, 지역별 비급여 진료비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 가기 전에 꼭 확인해보세요.